|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눈물을 흘리며 추모사를 한 유가족에게 다가가 위로하고 있다. <사진=포커스> |
문재인 대통령이 5·18 민주화운동 정신을 헌법전문에 담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의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민주화 운동 기념식에 참석, "새 정부는 광주민주화운동의 연장선 위에 서 있고, 1987년 6월항쟁과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의 맥을 잇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5·18 민주화운동은 비로소 온 국민이 기억하고 배우는 자랑스러운 역사로 자리매김 될 것"이라며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아 개헌을 완료할 수 있도록 이 자리를 빌어서 국회의 협력과 국민 여러분의 동의를 정중히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5·18은 불의한 국가권력이 국민의 생명과 인권을 유린한 우리 현대사의 비극이었다. 하지만 이에 맞선 시민들의 항쟁이 민주주의의 이정표를 세웠다"며 "진실은 오랜 시간 은폐되고, 왜곡되고, 탄압 받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나 서슬퍼런 독재의 어둠 속에서도 국민들은 광주의 불빛을 따라 한걸음씩 나아갔다"며 "광주의 진실을 알리는 일이 민주화운동이 됐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광주의 진실은 저에게 외면할 수 없는 분노였고, 아픔을 함께 나누지 못했다는 크나큰 부채감이었다"며 "그 부채감이 민주화운동에 나설 용기를 줬다. 그것이 저를 오늘 이 자리에 서기까지 성장시켜준 힘이 됐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임을 위한 행진곡'과 관련해선 "'임을 위한 행진곡'은 단순한 노래가 아니다.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 그 자체"라며 “오늘 '임을 위한 행진곡'의 제창은 그동안 상처받은 광주정신을 다시 살리는 일이 될 것이다. 오늘의 제창으로 불필요한 논란이 끝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5·18 당시 헬기사격과 발포 진상 규명에 나서겠다고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5·18 관련 자료의 폐기와 역사왜곡을 막겠다. 전남도청 복원 문제는 광주시와 협의하고 협력하겠다"면서 "헬기사격까지 포함하여 발포의 진상과 책임을 반드시 밝혀내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언급한 헬기사격은 1980년 5월 당시 계엄군이 헬기에 장착된 기관총으로 전일빌딩내 시민군을 향해 난사한 사건을 말한다. 현재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식결과를 토대로 계엄군에 의해 헬기를 동원한 사격이 이뤄졌다는 것만 밝혀졌을 뿐, 발포명령자 등에 대한 정확한 진상규명은 이뤄지지 않았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취임 후 첫 정부 공식 기념행사인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유가족을 다독이는 감성 행보로 큰 관심을 모았다. 그는 행사 도중 유가족을 끌어안으며 함께 눈시울을 붉혔고, 9년만에 '임을 위한 행진곡'을 처음부터 끝까지 부른 현직 대통령 기록도 남겼다.
이날 오전 9시50분, 행사 시작보다 10분 일찍 광주 북구 5·18민주묘지에 도착한 문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과 다르게 차를 이용하지 않고 민주의문부터 기념식장까지 걸어서 이동했다. 5·18 전 묘역에는 '근조 대통령 문재인' 문구 리본이 달린 국화꽃이 헌화돼 있었다.
기념식장은 참배객, 문 대통령을 보러 온 시민 등 1만여명으로 북적였다. 문 대통령은 유가족과 5·18단체 회원을 안으며 다독였다. 이날 기념식은 문 대통령 지시로 '유연한 경호'를 지향하며 검색대를 통과한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게 했다.
문 대통령은 방명록에 '가슴에 새겨온 역사 헌법에 새겨 계승하겠다'고 추모글을 적었다.
문 대통령은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의 마지막 공식 행사인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에선 정세균 국회의장 등과 손을 맞잡고 흔들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불렀다. 현직 대통령이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2013년 이후 4년만,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른 것은 9년만이다.
이어 문 대통령은 임을 위한 행진곡 노래의 주인공 윤상원씨 묘역, '슬픈생일'의 아버지 김재평씨 묘역, 행방불명 묘역 등을 참배했다. 김재평씨 묘역에 갈 때는 고인의 딸 김소형씨와 함께 참배했다.
이날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각당 대선 후보, 여·야 지도부 등 유력 정치인, 5·18유가족, 5월 단체 회원, 시민 등 1만여명이 참석해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졌다.
1980년 5월 18일을 전후해 광주와 전남 일원에서 일원에서 일어난 5·18 민주화운동은 불법적으로 집권하려는 신군부 세력을 거부하고 민주화를 염원하는 시민들의 목숨을 건 민주항쟁이었다.
5·18 민주화운동은 유신체제를 계승한 제5공화국 정권의 부도덕성을 부각시키는 계기로 작용해 끝내 그 체제를 붕괴시키고 문민정부를 탄생시켰으며, 50년만의 여·야간 정권 교체를 이룩하는 결정적인 배경이 됐다.
5·18 민주화운동은 이후 한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전개된 민주화운동의 원동력이 되었고, 1987년 6월 항쟁의 밑거름이 됐다.
1995년엔 헌정질서 파괴범죄행위에 대한 공소시효 정지 등을 규정한 5·18민주화운동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돼 전직 대통령 등 92명이 내란·내란목적살인죄 등으로 처벌받았다. 2002년네는 5·18민주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이 제정돼 관련자들이 민주유공자로 인정받았다.
5·18민주화운동은 2011년 세계사에 중요한 민주화운동 사례로 인정돼 관련 자료들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저작권자 ⓒ 스타에이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